채권은 약속한이자를 지급하는 거다.
연3%채권(A)을 1000만원에 팔면 1년뒤에 1030만원 주는거다. 여기까지 ㅇㅋ?
채권을 기분좋게 사서 들고있는데
니친구가 채권을사려고한순간 연5%로 바뀌면 난 빡친다.
왜냐면 그친구는 1000만원어치(B연 5%)투자해서 1년뒤에 1050만원을 받기때문이다 20만원 차이?ㅇㅋ?
자 그럼 니가 가진 A채권을 다른사람한테 넘기려고할때 (사자금리가 바뀌고 넘긴다고 가정하자)
니채권을 1000만원에 사줄수가없다
B라는 채권을 1000만원에 지금 사면 50만원받는데
미쳤다고 30만원받는 채권을 내가 왜사냐 1000만원에??
그래서 넌 울면서 20만원뺴준다고 해야 내가 사줄수있다.
그래서 1000만원 투자한 너는 980만원에 팔수있는거다.
다시 정리하면
1000만원 3% 에 투자했는데
1000만원 5%로 금리가 뛰어버리면 니가 가지고있는 채권의 값어치가 2%하락하게된다
그럼 넌 지금 2%가격차이를 물어주고 현금화하던가
아니면 만기까지 기다려서 3%받던가 둘중에 하나해야된다.
그래서 금리가 오르면 채권값이 하락한다.
반대로 생각하면 1000만원에 3% ( 30만원)
인데 금리가 하락해서 오늘부터 1%면 1000만원 사야 1년뒤에 겨우 10만원준다.
자 이상황에서 너의 채권은 완전 메리트가 많다
서로 살려고할꺼다. 너는 최소한 20만원을 비싸게 주고 팔수있게되는데
바로 팔아도 1000만원에 산걸 1020만원에 팔수있게되는거다.
이해되지?
결국 게이가 물어본대로 대량의 채권매도 (외국인이 채권으로 들고있던 한국에 투자한자금을 채권을 팔아서 미국으로 송금 고고 )
채권을 엄청나게 팔아재끼면서 가격이 하락하게 된다 (서로 팔려고 경쟁하니까 값이 조금씩내림)
그럼 결과적으로 금리가 비싸지는효과가 난다.
지금 미국 시장으로 돈이쏠리려고하는건 미국 테이퍼링으로 미국달러값어치하락이 멈추고 반등할거라는 전망떄문이지
쉽게 기본만 썼다.
나머지는 지식인 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