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취업난이다 뭐다 해서 집에서 히키생활하고 있는 일게이들 많을꺼야
그러다보면 자연스레 생체리듬 깨지고
아침에 일찍 일어날 필요가 없으니 새벽에 잠드는 사람 많을꺼다 심하면 해뜨고 자는 경우도 있지
그리곤 태양이 노짱 부엉이바위에 운지하러 올라간만큼 높게 떠있을때 눈비비며 일어나거나 남들 퇴근할때쯔음 일어나는 게이도 있겠지
근데 이건 너가 야행성동물이 아닌 인간!!!! 이라면 자중할 필요가 있다
니 몸생각해야지
백수생활 하는데 몸까지 비실대면 우울하지 않노
아무리 일베가 장애인저장소라지만 최소한 인간다운 몸은 유지하자
그럼 왜 히키 일게이들은 남들 피곤에 쩔어서 나자빠질 시간에
일베갈 떡밥 문 짤방게이들 마냥 눈이 땡그래져서 잠이 오지 않는걸까
1. 잠이 오지 않는 이유
모든 생물체는 아침에 해가 뜨면 활동을 하고 해가 지면 잠을 청하게 되거나 대사기능이 약해지게 돼
그런 신체구조를 가지고 태어난거야
우리가 잠이 드는 원리가 비슷한데 아침에 빛나는 햇살이 인체에 양기로 작용해
이 양기가 아침에 우리 이목구비를 비추면 사물을 지각하고 활동하게 되는거고
양기가 오장육부로 쏙 들어가면 사물따윈 지각하지 못하고 그냥 곯아떨어지는거야
낮밤 바뀐 게이들 어느정도 이해가 가지?
이 양기라는게 우리 신체에 작용하는 메카니즘이 깨지는 경우가
몇가지가 있는데
식사를 제대로 못한다던지 (라면같은거 먹으면서 땡길때 불규칙하게 먹으니까)
병을 앓거나 나이가 들어서 양기가 쇠약해졌다던지 (정게할배들 노인은 잠이없어)
예민하거나 생각이 많거나 뭔가 초조한 경우 (소풍전날 잠 못자던 게이들 많지?)
마지막으로 열이 선천적으로 많아서 잠 못자는 경우들이 있어
이런것들이 불면증의 원인이야
가장 잠이 잘오는 자세는 옆으로 누운채 무릎을 살짝 구부린채 자는게 짱짱맨이래
너무 배고프거나 너무 배불러도 잠이 잘 안오니까 간단한 차나 우유를 마셔서 몸을 데우는것도 좋은방법
먹고 바로 자면 역류성식도염 걸리니까 조심해라
다들 잠 안오면 잠들기위해 저마다의 상상의 나래가 있을꺼야
난 내가 엄청 뛰어난 운동선수로 가정하고 호날두나 커쇼 뺨치게 그라운드를 좌지우지하는 상상하다보면 잠이 오더라
결론은 피곤하면 잠은 온다는 거야
일게이들 하루종일 방구석에 박혀있다보면 피곤할 일이 없어서 정작 자야할 시간엔 잠을 못자는거지
알바라도 뛰자
잠깐 자는 낮잠은 효율적일까?
2.낮잠에 대해
정상적인 생활하는 게이들도 너무 피곤하면 점심시간에 사우나라도 가서 잠깐 쉬다오고 싶지?
공부하는 게이들도 너무 졸려서 조금만 눈붙이고 공부해야겠다 싶어 책상에 잠깐 엎드려 잠을 청했는데 피로가 가시는 경우있을꺼야
그렇다면 낮잠은 어느정도 자는게 좋고 얼만큼 효과적인걸까
결론적으로 미리 말하자면 낮잠이 필요한 이유에 따라 조금씩 달라
완벽한 낮잠을 즐기기 위해선 수면 목적에 따라 달라져야 한대 수면은 뇌파에 따라 90~120분 간격으로 렘(REM) 수면과 논렘(Non-REM) 수면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각각의 단계에서 깨어났을 때 회복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야
이말이 뭔말이냐 니들이 잘때마다 주기적으로 뇌파가 렘상태였다가 논렘상태였다가 반복해
따라서 너희가 깼을때 렘상태로 깰수도 있는거고 논렘상태로 깰수도 있는거지렘 수면 상태는 뇌 활동이 활발해 꿈을 꾸는 상태고 논렘 수면은 얕고 즉각적인 수면 후 가장 깊은 단계인 서파수면이라는 상태야
뇌파가 거의 안정적 상태를 보이는 서파수면에서 깨어나면 잠에 취해 비몽사몽한 상태가 된대
일어났는데 개운할때가 있고 잠이 덜깨서 정신이 혼미할때가 있자나
논렘상태에서 깨면 비몽사몽하는거지
때문에 일부 전문가들은 낮잠을 자는 이유에 따라 낮잠 자는 방식이 달라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단순히 정신이 몽롱할 때는 10분에서 20분 정도 자는 게 효과적이지만 인지활동이나 기억력을 보충하기 위해선 60분은 자야 효과적이래
논렘상태에서 깨면 몽롱하니까 잠깐 자서 렘상태로 몸을 만들어주는거고
공부하고 바로자면 기억력에 도움된다는 얘기 들어봤을꺼야
그럴땐 60분 편하게 자는게 학습적인 측면에선 도움된다는 소리지
그니까 책상에 엎드려서 쪽잠자지말고 침대에서 푹 한시간 자고 일어나면
개운하기도 하고 너가 공부했던 내용들도 많이 날라가지 않을뿐더러
그 상태로 공부하면 기억력에도 도움이 된다는 소리지
수면의 패턴이란게 상당히 복잡하고 설명하자면 길어
그냥 간단하게 이해하자면
보통 7~8시간의 수면을 취한다고 했을때 그래프처럼 수면상태가 반복돼
색이 어두울수록 논렘수면 상태고 (깊은잠에 빠진) 밝을수록 렘수면 상태인거지
3. 꿈
위에서 저 얕은잠을 자는 렘수면 상태에서 우리는 보통 꿈을 꾸게 돼
이 뇌파상태를 보면 알수 있듯이 깨어있는 상태와 맨밑의 렘수면 상태의 그래프가 비슷하다는걸 알수있지
렘수면 상태는 거의 깨어있는 상태라고 보면 돼
꿈을 꾸다 잠에서 깨는 경우는 렘수면 상태에서 일어난거지
한 과학자는 여기서 의문을 품어
1950년대에 데멘트는 거의 깨어있는거나 다름없는 렘수면 상태가 인간에게 필수적인건지 의구심을 갖게 됐어
그래서 피실험자들의 눈과 머리에 패치를 붙여서
렘수면상태가 되려하면 깨우고 또 재운담에 렘수면 상태가 되려하면 깨우고 이걸 반복해
잠은 재우는데 렘수면 상태에 빠지지 않게 하는 실험이었지
피실험자 개짜증 ㅍㅌㅊ?
결과부터 말하자면 렘수면은 필수적인것이었어
이건 깨우기수에 집중하면 되는데 보면 알겠지만
평균적으로 피실험자들은 렘수면을 11번을 거쳤어
하지만 3일째 되는밤엔 평균 22번의 렘수면 상태가 찾아온거지
렘수면이 필수적이기에 렘수면을 방해받은만큼 보상받고자 렘수면 상태가 배로 늘어난거야
렘수면을 못했을시에 저절로 보상받아야 하는 증상을 REM-반동이라고 해
알콜이나 약물을 복용했을시 이 렘수면을 방해받아서 비렘수면 상태로만 잠을 자게 된다고 해
그래서 술을 많이 마신 다음날은 더욱 깊은잠에 빠져드는거야
4. 잠에 대한 10가지 상식
1.사람의 평균 수면 시간은 7~8시간. 하지만 모든 사람에게 똑같은 양의 잠이 필요한 건 아니다. 하루 3~4시간씩만 자고도 전투마다 승전보를 울렸던 나폴레옹 같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하루 10시간을 자고도 낮잠을 보충해야 하는 사람도 있다. 내게 맞는 잠의 양을 체크하는 기준은 낮 시간의 컨디션. 8시간 이상을 잤는데도 낮에 활동하는 데 지장을 받는다면 수면 시간을 늘리는 게 좋다
2.잠은 분명 피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잠자는 동안 피부도 휴식에 들어가기 때문. 잠은 피부의 땀샘이나 피지선의 기능을 감소시키고, 재생 속도를 느리게 한다. 문제는 피부가 쉴 수 있는 시간이 따로 있다는 것. 밤 9시부터 새벽 2시 사이가 피부의 휴식시간이다. 따라서 이 시간에 잠을 자지 못하면 땀샘과 피지선의 활동이 왕성해져 피부가 피곤을 느끼게 되며, 색소세포의 활약으로 얼굴색이 칙칙해지게 된다.